코딩 공부

비전공자를 위한 HTML/CSS-시멘틱 마크업

뉴 데이 2022. 5. 3. 15:05

시멘틱 마크업 이란?

시멘틱 마크업은 종종 POSH(Plain Old Semantic HTML)라고도 불리는데, 단어 그대로 평범하고 오래된 의미론적인 HTML이라는 뜻입니다

시멘틱은 즉, 기계(컴퓨터, 브라우저)가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뜻합니다.

애초에 프로그래밍 언어는 사람과 기계와의 정해진 약속이며 HTML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시멘틱 마크업은 적절한 HTML 요소를 올바르게 사용하는 것에서 시작합니다

 

시멘틱 마크업 하기

그럼 어떻게 하면 브라우저가 코드를 잘 이해할 수 있을까요?

간단합니다. 정해진 약속을 잘 지키면 됩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마크업 할 때는 의미에 맞는 태그, 요소를 사용하는 것이고

문서를 표현할 때는 구조화를 잘 해주는 것입니다.

정해진 약속대로 코드를 작성하게 되면 결국 기계뿐 아니라 사람도 이해하기 쉬운 코드가 됩니다.

<b>굵은</b> vs <strong>중요한</strong>
<i>기울어진</i> vs <em>강조하는</em>
<u>밑줄친</u> vs <ins>새롭게 추가된</ins>
<s>중간선이 있는</s> vs <del>삭제된</del>

위 코드를 작성해서 화면을 보면 각각의 요소가 같은 모습으로 표현되나 그 의미가 같지는 않습니다.

<b>는 의미 없이 단순히 텍스트를 굵게 표현하는 태그지만, <strong>은 중요하다는 의미를 지닙니다.

<strong>은 중요하다는 의미에 맞춰 브라우저에 의해 굵은 스타일로 표현된 것입니다.

따라서 중요하다는 의미를 포함할 때는 <b>가 아닌 <strong>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고 시멘틱한 마크업입니다.

 

이외에 <i>는 단순히 기울어진 글자를 표현하지만, <em>은 글자의 특정 부분을 강조하는 의미를 지닙니다.

<u> <s>는 단순히 글자에 선을 그은 것이고, <ins> <del>은 내용이 새롭게 추가되거나

삭제가 되었다는 의미를 지닙니다.

 


 

참고자료

 

 

Semantics

https://developer.mozilla.org

In programing, Semantics refers to the meaning of a piece of code — for example "what effect does running that line of JavaScript have?", or "what purpose or role does that HTML element have" (rather than "what does it look like?".)

 

HTML5 Semantic Elements

https://www.w3schools.com

Well organized and easy to understand Web building tutorials with lots of examples of how to use HTML, CSS, JavaScript, SQL, PHP, and XML.

널리 세미나

http://nuli.navercorp.com

널리 2014 세미나 08.시맨틱한 HTML5 마크업 구조 설계, 어떻게 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