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63

비전공자를 위한 HTML/CSS-가상 선택자 2

가상 요소(pseudo element) 가상 요소는 HTML 코드에 존재하지 않는 구조 요소에 스타일을 부여할 수가 있습니다. 가상 요소도 가상 클래스처럼 문서 내에 보이지 않지만, 미리 정의한 위치에 삽입되도록 약속이 되어있습니다. 선언 방법은 가상 클래스와 같게 콜론을 사용하며, CSS3부터는 가상 클래스와 가상 요소를 구분하기 위해 가상 요소에는 ::(더블 콜론) 기호를 사용하기로 했습니다. 하지만 하위 브라우저에서 :: 문법을 지원하지 않는 문제가 있으므로 상황에 따라 : 기호를 사용하셔야 합니다. ::pseudo-element { property: value; } 강의에서는 가상 클래스와 마찬가지로 기본적인 가상 요소만 설명해 드리고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다른 가상 요소들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

코딩 공부 2022.05.03

비전공자를 위한 HTML/CSS-가상선택자

가상 클래스(pseudo class) 가상 클래스는 미리 정의해놓은 상황에 적용되도록 약속된 보이지 않는 클래스입니다. 우리가 직접 요소에 클래스를 선언하는 것은 아니고, 약속된 상황이 되면 브라우저 스스로 클래스를 적용해줍니다. 예를 들어, 가 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이 에 마우스 커서를 올렸을 때만 특정 스타일을 주고 싶다고 한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가상 클래스가 없다면 이런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임의의 클래스 선택자를 선언하여 특정 스타일 규칙을 만든다. p 요소에 커서가 올라가면 p 요소에 클래스를 집어넣는다. p 요소에서 커서가 빠지면 p 요소에 클래스를 삭제한다. 여기서 2, 3번은 동적으로 변화되어야 하는데, HTML과 CSS는 정적인 언어이기 때문에 처리할 수 없습니다. 어쩔 수 없이..

코딩 공부 2022.05.03

비전공자를 위한 HTML/CSS-문서 구조 관련 선택자

문서 구조의 이해 선택자와 문서의 관계를 이해하기 위해 먼저 어떻게 문서가 구조화되는지를 다시 한 번 살펴보겠습니다 HTML: Hyper Text Markup Language HTML과 CSS와 JAVASCRIPT를 이용해서 멋진 웹 사이트를 제작할 수 있습니다. 위 HTML 코드에서 각 요소들을 짚어가면서 부모와 자식, 조상과 자손, 그리고 형제의 관계를 살펴보겠습니다. (참고: 영상의 예제 코드와 조금 다릅니다.) 부모와 자식 부모 요소는 그 요소를 포함하는 가장 가까운 상위 요소로, 그 요소의 부모 요소는 단 하나뿐입니다. 자식 요소는 부모 요소와 반대라고 생각하면 되며 자식 요소는 여러 개일 수도 있습니다. 의 부모 요소: ↔ 의 자식 요소: 의 부모 요소: ↔ 의 자식 요소: , 의 부모 요소:..

코딩 공부 2022.05.03

비전공자를 위한 HTML/CSS-선택자3

선택자의 조합 /* 요소와 class의 조합 */ p.bar { ... } /* 다중 class */ .foo.bar { ... } /* id와 class의 조합 */ #foo.bar { ... } 첫 번째는 요소와 클래스를 조합한 경우입니다. 이 경우에는 이면서 class 속성에 bar가 있어야 적용됩니다. 두 번째는 다중 클래스의 경우입니다. 이 경우에는 class 속성에 foo와 bar가 모두 있어야 적용됩니다. 마지막은 id와 class를 조합한 경우입니다. 이 경우에는 id가 foo이며 class가 bar인 요소에 적용됩니다. 속성 선택자 단순 속성으로 선택 p[class] { color: silver; } p[class][id] { text-decoration: underline; } Hell..

코딩 공부 2022.05.03

비전공자를 위한 HTML/CSS-선택자2

class 선택자 요소에 구애받지 않고 스타일 규칙을 적용할 수 있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class 선택자를 활용하는 것입니다. class 선택자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HTML을 수정해 class 속성을 추가해야 합니다. class 속성은 글로벌 속성이므로 어느 태그에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class 속성에 값을 넣게 되면, class 선택자를 이용해서 해당 요소에 스타일 규칙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foo { font-size: 30px; } ... 위 코드처럼 의 class 속성의 값으로 "foo"라는 값을 넣었다면, CSS에서 그 값("foo")을 선택자로 지정하면 됩니다. 클래스 선택자를 쓸 때는, 맨 앞에 .(마침표)를 찍어주셔야 합니다. 이렇게 되면 어느 요소든지 class 속성값이 "f..

코딩 공부 2022.05.03

비전공자를 위한 HTML/CSS-선택자1

요소 선택자 선택자 중에 가장 기본이 되는 선택자이며, 태그 선택자라고도 합니다. h1 { color: yellow; } h2 { color: yellow; } h3 { color: yellow; } h4 { color: yellow; } h5 { color: yellow; } h6 { color: yellow; } 요소 선택자는 위 코드처럼 선택자 부분에 태그 이름이 들어갑니다. 문서 내에 선택자에 해당하는 모든 요소에 스타일 규칙이 적용됩니다. 그룹화 선택자는 쉼표를 이용해서 그룹화를 할 수 있습니다. h1, h2, h3, h4, h5, h6 { color: yellow; } 위 코드는 요소 선택자의 예제 코드와 같은 코드입니다. 그리고 전체 선택자 라고 불리는 간단한 선택자도 있습니다. * { co..

코딩 공부 2022.05.03

비전공자를 위한 HTML/CSS-CSS 문법과 적용

CSS는 HTML 요소를 꾸며주는 역할을 합니다. CSS는 꾸밀 대상이 되는 요소와 그에 대한 스타일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CSS 구문 h1 { color: yellow; font-size:2em; } 선택자(selector) - "h1" 속성(property) - "color" 값(value) - "yellow" 선언(declaration) - "color: yellow", "font-size: 2em" 선언부(declaration block) - "{ color: yellow; font-size:2em; }" 규칙(rule set) - "h1 { color: yellow; font-size:2em; }" CSS 파일은 여러 개의 규칙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선택자와 선언부 사이, 선언과 선언 ..

코딩 공부 2022.05.03

비전공자를 위한 HTML/CSS-CSS 소개

CSS와 HTML CSS는 간단히 이야기하면 HTML(마크업 언어)을 꾸며주는 표현용 언어입니다. HTML이 문서의 정보, 구조를 설계한다면 CSS는 문서를 보기 좋게 디자인합니다. CSS는 분명히 HTML과는 독립된 다른 언어지만 마크업 문서 자체가 존재하지 않으면 CSS는 무용지물이나 마찬가지입니다. 왜냐하면, CSS는 표현을 위한 언어인데 마크업 문서가 없다면 표현할 대상이 없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CSS는 보통 마크업 언어인 HTML과 같이 묶어서 이야기합니다. CSS로 표현한 다양한 웹 사이트들 전 세계에 많은 웹 사이트들이 있습니다. 그리고 그것들 모두 HTML 태그를 이용해서 만들어졌고, 자주 사용되는 태그의 개수는 10여 개밖에 되지 않습니다. 결국, 모든 사이트가 비슷한 HTML 태그를 ..

코딩 공부 2022.05.03

비전공자를 위한 HTML/CSS-블록&인라인

블록 레벨 요소 부모 요소의 가로 영역에 맞게 꽉 채워져 표현되는 요소입니다. 양옆으로 다른 요소가 배치되지 않게 박스를 생성하므로 박스의 위아래로 줄 바꿈이 생기게 됩니다. 블록 레벨 요소는 일반적인 모든 요소(블록, 인라인 레벨 등)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 div, h1~h6, p, ul, li, table ..." 인라인 레벨 요소 하나의 라인 안에서 자신의 내용만큼의 박스를 만드는 요소입니다. 라인의 흐름을 끊지 않고 요소 앞 뒤로도 줄 바꿈이 되지 않아 다른 인라인 요소들이 자리할 수 있습니다. 인라인 레벨 요소는 블록 레벨 요소의 자식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자손으로 블록 레벨 요소를 가질 수 없습니다. 즉, 인라인 레벨 요소는 블록 레벨 요소를 포함할 수 없습니다. " span, i, img..

코딩 공부 2022.05.03

비전공자를 위한 HTML/CSS-시멘틱 마크업

시멘틱 마크업 이란? 시멘틱 마크업은 종종 POSH(Plain Old Semantic HTML)라고도 불리는데, 단어 그대로 평범하고 오래된 의미론적인 HTML이라는 뜻입니다. 시멘틱은 즉, 기계(컴퓨터, 브라우저)가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뜻합니다. 애초에 프로그래밍 언어는 사람과 기계와의 정해진 약속이며 HTML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시멘틱 마크업은 적절한 HTML 요소를 올바르게 사용하는 것에서 시작합니다. 시멘틱 마크업 하기 그럼 어떻게 하면 브라우저가 코드를 잘 이해할 수 있을까요? 간단합니다. 정해진 약속을 잘 지키면 됩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마크업 할 때는 의미에 맞는 태그, 요소를 사용하는 것이고 문서를 표현할 때는 구조화를 잘 해주는 것입니다. 정해진 약속대로 코드를 작성하..

코딩 공부 2022.05.03